“크로탈라리아”는 벌새의 외형을 흉내 내고, 인간은 크로탈라리아를 보며 벌새의 이미지를 떠올린다. 기능과 관계없이 형태 자체만으로 의미 있는 순간이, 형태가 기능과 상호 작용하면서 의미를 얻는 순간이 될 때가 있다. 숫자 혹은 라틴 알파벳처럼 보이는 이 글자들은 한글을 따라 하고 흉내 내며, 서로 군집을 이루어 의미 있는 하나의 글자를 형성한다. 식물의 줄기와 잎이 공간을 따라 자라듯 유연하게 글자 너비에 따라 자기 일부를 유기적으로 변화시켜 속한 환경에 적응한다.
타이포잔치 2019: 제6회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분류: 레터링, 영상, 전시, 설치, 2019

Crotalaria imitates the appearance of hummingbirds, which reminisces the hummingbirds from Crotalaria. A moment already valuable in its beautiful form without function becomes a meaningful moment when the form interacts with functions. The letters which look like numbers or Latin alphabets imitate and follow the Hangul(Korean alphabets). Moreover, they are gathered into a single meaningful letter. In connection, the stems and strokes grow with space; they adapt to their environment by organically transforming their bod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s’ width.
Typojanchi 2019: 6th International Typography Biennale
Categorize: Lettering, Video, Exhibition, Installation, 2019